긴급 정부지원 대출 - 연체자 무직자 신불자
- 카테고리 없음
- 2023. 7. 25. 16:17
경기가 좋지 않아 연체자나 소득이 일정하지 않으신 분, 그리고 신용불량자 및 무직자 등 힘들어 하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연체가 있더라고 정부지원으로 소액대출은 모바일로 비대면으로 바로 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정부지원 대출의 특성상 예산 소진이 될 수 있으니 늦기전에 한도 조회 해보시길 바랍니다.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대출을 받고자 하시는 연체자, 저신용자 분들께서는 아래 다양한 상황에 따른 대출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직장인 연체자 정부지원대출
연체대출금이 있는 직장인이시라면 정부지원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을 하기에 앞서 장기연체 기록이 있을 경우엔 대출이 어려우니, 꼭 연체기록이 있는지 확인을 하시길 바랍니다.
직장인 서민 정부지원 대출을 받기위한 체크 사항
- 연체기록 체크 (장기,단기)
- 최근 3개월 이내에 연체기록이 있는지
- 최근 1년 이내에 채무불이행 기록이 있는지
- 10일 이상의 연체가 3회 이상 반복하였는지
위 4가지 사항을 모두 만족한다면 대출승인의 확률이 높아집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모음
👉 신용불량자도 빚 90%탕감 가능한 개인회생 무료상담 받기
개인사업자 연체자 정부지원대출
직장인과 마찬가지로 단기연체 기록은 괜찮지만, 장기연체 기록을 가지고 있으시다면 대출이 불가능합니다.
단기연체 기록을 가지고 있더라도 본인의 소득, 신용상태, 부채현황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것은 은행에 확인 해보셔야 합니다.
직장인 에서 말씀드린 4가지 체크사항을 먼저 확인하시고 모두 만족하신다면 대출 승인이 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연체자 정부지원대출 이용하는 법
햇살론17
위에서 설명드린 정부지원대출은 햇살론17 입니다.
햇살론17 대출을 이용하려면 어떤 자격조건이 필요한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대출 자격조건
- 개인신용평점이 하위 100분의 20에 해당하는 분, 연소득이 3,500만원 초과 4,500만원 이하인 분
- 연소득이 3,500만원 이하인 분(개인신용평점 무관)
- 재직기간 또는 사업기간 3개월 이상, 연금수령 1회 이상
위의 조건을 만족하신다면 햇살론17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연체자라면 위의 조건과 함께 위에서 설명드린 체크사항 역시 만족하셔야지 대출 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햇살론17 한도, 금리, 기간, 상환방법
대출은 일반보증과 특례보증으로 나뉩니다.
두가지 모두를 받을 경우 최대 1,4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하고, 대출금리는 연 17.9%로 적용됩니다.
그리고 성실하게 상환할 경우 대출금리를 인하해줄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기금 소액대출 (연체자 정부지원대출)
국민행복기금 소액대출은 의료비, 결혼자금, 임차자금, 출산자금, 학자금, 장례비, 사금융피해예방자금, 자영업자지원자금, 기타생활안정자금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정부지원대출 상품입니다.
- 대출한도 : 최대 1,500만원
- 대출기간 : 최장 5년
- 상환방법 : 원리금균등분할방식
- 대출금리 : 연 3.0~4.0%
몇가지 조건만 만족하면 저금리로 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국민행복기금 소액대출 신청조건
- 바꿔드림론이나 안전망대출을 받고 6개월 이상 성실상환 하신 분 또는 3년 이내에 완제하신 분.
- 신용회복지원을 받고 6개월 이상 성실상환 하신 분 또는 3년 이내에 대출금을 모두 상환하신 분.
위의 조건을 만족하신다면 최대 1,500만원까지 대출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미소금융 생계자금 (연체자 정부지원대출)
미소금융 생계자금은 자녀 교육비, 자립자금, 주거 임차보증금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출상품입니다.
저소득자나 저신용자 분들이 담보나 보증없이 이용할 수 있는 정부지원 저금리 대출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 대출한도 – 500만원~2천만원
- 대출기간 – 5년
- 대출금리 – 연 2.5%~3%
일반 금융권에서 대출이 어려우신 분들 또는 고금리 대출이 부담스러운 분들이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미소금융 생계자금 신청조건
- 개인신용평점이 하위 20% 이하인자
-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 근로장려금 수급자 모두 신청 가능
- 취약계층 신청 가능
취약계층이란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다문화가족 가구주, 북한이탈주민, 장애인, 특별재난지역, 고용재난지역,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거주자를 말합니다.